넘블 딥다이브 네이버 마이박스 서버 만들기 회고
프로젝트 참가
넘블에서 네이버 마이박스 서버 만들기 개인 프로젝트를 신청했다.
참가비는 4만원이였고, 최상위 3명에게는 네이버 현직자가 코드리뷰를 해준다.
혼자 배포, 성능테스트 등을 성공해서 코드리뷰를 받을 확률은 없었지만
팀 단위로 스터디 팀원처럼 구현상황에 대해 공유를 할 수 있다는 점과
최상위 3명의 코드리뷰를 나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어서 신청하였다.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그에 맞게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된다.
쉬워보이지만 기술스택 선정부터, 마이박스에 관한 구성을 "혼자" 고민해야 한다는 점이 정말 어려웠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CP) 서버 사용을 권장했기 때문에 NCP를 최대한 활용했고
배포를 처음 해보기 때문에 순서나 과정 자체를 모른다는 점이 문제였다.
원티드에서 도커 강의를 신청해서 들으면서 사전지식을 준비 했지만, 도커에 대한 개념과 이미지 생성에 대한 지식뿐이어서 부족했다.
최대한 팀원들과 현황을 공유하고 질문하면서 개념을 쌓으려고 노력했고,
나머지 과정은 밤 늦게까지 부딪히면서 진행했다ㅋㅋ
프로젝트 진행 순서
위에서 말했다시피 관련 지식이 없는 것이 가장 컸고, 첫 배포에 의미를 둔 프젝이라서
배포에 시간을 가장 많이 투자했다.
1. NCP로 배포한 관련 게시글을 찾아보면서 흐름 이해하기
2. 배포 과정에 대한 게시글 찾아보기
3. 직접 해보기
4. 서버에 올라갈 스프링 구조 만들기
5. 수동 배포해보기
6. ERD, API 설계 밒 구현하기
7. 젠킨스를 활용한 서버 자동화하기
생각과 달리 다양한 오류들을 만나서 성능테스트와 테스트 코드 작성은 시간안에 할 수 없었지만
서버, 스토리지에 관한 지식을 쌓고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이때 모았던 관련 자료들은 노션에 잘 정리해두었다.
https://prickly-melon-45e.notion.site/MYBOX-d38a70c26e6e49f8a23a0daea86760c7?pvs=4
네이버 MYBOX 서버 만들기
Numble과 함께하는 “양은진의 개인 프로젝트”
prickly-melon-45e.notion.site
배포에 관련된 지식은 따로 업로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