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3 [IntelliJ] 실패한 push 다시하기 인텔리제이에서 push 하는 방법은 푸쉬할 파일만 선택하는 것이 쉬워서 많이 사용하였다. 노트북이 바뀌면서 인텔리제이에 깃허브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았다. 커밋 푸쉬를 클릭했는데 로그인 실패로 푸쉬가 되지 않았을 때 대처법은?! 원래는 이렇게 변경된 파일 목록이 남아 있는데 현재는 푸쉬도 안 됐는데 커밋했던 부분이 없어져서 고민했다 인텔리제이 상단의 GIT 부분에서 노란색 동그라미 부분을 클릭해서 푸쉬하면 완료! 이미 커밋이 완료되어서 커밋 목록이 사라진 것이고 커밋목록을 푸쉬해주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간단한 기능설명 파란색 화살표 : PULL 초록색 체크 : COMMIT 초록색 화살표 :PUSH 간단한 기능이지만 인텔리제이로 프로젝트를 했던 기간 동안 몰랐던 것이 아쉬워서 글로 남긴다 다른 분들에.. 2023. 8. 14. [Github] Fork한 Repository에 최신화하는 방법 fork한 repository를 원본 repository에 pull request하는 방법을 올렸었다. 내 레포 --- > 원본 레포 머지는 성공! 그런데 문제는 원본 레포 --- > 내 레포로 다시 pull 받는 방법은? 내 레포 최신화 시작! 이전 글에 있었던 원본 레포지토리 수정내역 확인 방법은 원본(upstream)을 fetch하는 것이였다. 충돌 방지하기 --- > 최신화 하기 혹시 다른 수정내역이 있는지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 확인한다. ( 원본 레포지토리가 업데이트된 내역을 받아온다) $ git fetch upstream 최신화된 내역을 받아왔으면 내 레포지토리로 머지해준다. 머지하기 $ git merge upstream/main upstream의 main 브랜치를 머지한다는 의미이다. 내 .. 2023. 8. 2. [GitHub] Fork, upstream, Pull Repuest 하는 방법 도커를 배우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Repository를 fork 해서 사전미션을 제출하고 Pull Request 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 frok는 쉽지만... 포크된 레포지토리를 원본 레포에 올리는 방법은...? 당장 시작해 본다. 외부 레포지토리 = 다른 사람의 레포지토리 내 레포지토리 = 외부 레포지토리를 fork 한 레포지토리 라고 정해서 설명한다. 1. fork 하기 1-1 ) fork 하기 원하는 repository(외부 레포지토리)에서 fork를 눌러준다. 1-2 ) 원하는 이름과, 설명 등을 설정하고 create 한다. 이때 fork 된 레포지토리는 기존 레포지토리를 복사 붙여 넣기 해와서 내 레포지토리로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기존 레포지토리와는 다른 나의 레포지토리가 된 .. 2023. 7. 30. 이전 1 다음